퇴직금 계산기 사용 방법 중간 정산 DC DB
퇴직금 계산기 사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이들이 입사와 동시에 아이러니하게도 퇴사를 꿈꾸고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기대수명도 길고 해서 퇴직을 하더라도 끝이 아니고 거기서 다시 새로운 시작을 하는 느낌입니다. 그렇기에 미리 자신의 퇴직금이 얼마인지 파악해두는 것도 중요할텐데요. 퇴직금을 직접 계산할 필요는 없고 계산기를 이용해서 계산하려고 합니다. 최대한 많이 받아가는게 우리에게는 좋겠지요.
퇴직금 지급 기준 및 적용 대상
퇴직금은 사실은 준말이고 퇴직급여라는 기본 정식 명칭이 따로 있습니다. 근무를 하고 그만둔다고 모든이가 퇴직금을 받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도 기준이 있습니다. 물론 크게 복잡하거나 어려운 조건은 아니기에 거의 대부분의 근로자가 해당한다고 보면 되는데요. 두 가지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데 일반은 일주일 평균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 되는 근로자이어야합니다. 그리고 두번째는 만 1년 이상을 근무해야 가능합니다. 보통 1번 기준은 충족할테고 2번 기준에서만 통과하면 퇴직금 기준을 충족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퇴직금 계산기 이용 방법
위에서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 기준을 충족했다면 이제는 퇴직금을 얼마를 받을 수 있을지 계산을 해봐야할텐데요. 퇴직금 계산기는 검색엔진에 검색해도 간략하게 나오기는 하지만 저는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퇴직금 계산기를 이용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위와 같이 기입만 하면 얼마인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일단 그 전에 어떠한 것인지에 대해서도 알아보면 좋겠지요. 결과값도 중요하기는 하지만 어떤 과정이 들어가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약간 수식이 복잡할 수는 있지만 또 천천히 알아가면 그리 복잡하지도 않을 거라고 생각해요. 근무일수는 마지막 하루까지 계산이 되는데요. 그렇기에 만 n년 되는날까지 맞추어서 근무를 하고 퇴사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퇴직금 계산 방법
일단 예로 들어서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일단 입사는 19년 첫날부터 시작해서 21년 첫날까지 2년을 기준으로 정했습니다.
기본급은 3백만원에 기타수당은 월에 30만원으로 책정을 했습니다. 여기에 연차수당 또한 30만원으로 잡아서 계산을 해봤는데요. 아래와 같이 1일 평균임금도 약 12만 5천원으로 계산이 됩니다, 그리고 맨 아래에 우리가 궁금해하던 퇴직금도 확인해볼 수가 있는데요. 아무래도 조금이라도 더 받고 싶은게 당연할텐데요. 그러면 여기서 어떻게 하면 퇴직금을 더 받을 수 있을까요? 일단 사실 나가는 마당에 기본급은 어떻게 할 수가 없는 상황이고요. 우리가 집중해야 할 것은 기타수당과 연차수당이겠지요. 이 두가지를 최대한 올려두고 퇴사를 하면 조금이라도 더 받을 수 있겠습니다.
퇴직급여 종류
퇴직급여는 회사내에서 자체적으로 정하는 것이 아니라 법의 제도 아래에 따로 정해지는 것인데요.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확정급여형과 확정기여형으로 나뉘게 되는데요.
일단 먼저 알아볼 것은 DB라고도 불리는 확정급여형입니다.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일 경우에는 한번에 일시불로 딱 받는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리고 또 다른 형태는 DC라고도 불리는 확정기여형입니다. 회사가 근로자의 퇴직금을 따로 연금편드로 이용하는 형태를 말합니다. 요즘에는 IRP 등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퇴직금 중간 정산 방법
퇴직금은 근로를 하고 있는 중에도 퇴직금 중간 정산의 형태로 받을 수가 있는데요. 중간 정산을 하고 나서도 근무를 하면 또한 계속해서 쌓이겠지요. 퇴직금 중간 정산 또한 정해진 기준을 충족해야 가능합니다. 제가 하나씩 설명드리는 것보다는 아래에 들어가서 확인 하는 것이 보다 빠르고 정확 할 것 같습니다. 큰 개념은 기본적으로는 경제적으로 힘든 경우가 생겼을때에 퇴직금 중간 정산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퇴직급여제도 > 퇴직급여 중간정산 > 퇴직급여 중간(중도)정산 > 퇴직금 중간정산 (본문) | 찾기
퇴직금 중간정산, 중간정산 요건, 중간정산 구비서류, 중간정산 신청시기, 중간정산 이후 퇴직금 산정
easylaw.go.kr
이상으로 퇴직금 계산기를 이용하는 방법 및 중간 정산이나 DB, DC 등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퇴직금을 받고나서 유용하게 이용하시기를 바랍니다.
이번 글로 퇴직금에 대한 어느 정도의 정보를 얻으셨으면 합니다.
▼이 글과 같이 도움이 되는 정보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금 세금 기준 계산 방법 (0) | 2021.01.20 |
---|---|
해외주식 절세 방법 양도소득세 (0) | 2021.01.20 |
네이버 공동인증서 발급 방법 (0) | 2021.01.19 |
U+투게더 유플러스 가족결합 요금제 통신비 절약 (0) | 2021.01.18 |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조건 및 신청 방법 (0) | 2021.01.16 |